도쿄 주택가격도 양극화, 상권·관공서 등 밀집지역 5배 더 올라

입력 2018-03-04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단독보단 맨션이, 맨션도 신축이 더 상승..장기간 조정+아베노믹스+상업용부동산 수요 증가

최근 일본 주택시장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장기간 부진에서 벗어나고 있는 가운데 도심 내에서도 양극화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일본 주택시장 동향과 제약 요인’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도쿄도 주택가격의 기간중 연평균 증가율은 1.6%를 기록했다. 이중 도심권인 도쿄 23구는 2.4% 상승한 반면, 부심권인 다마지역은 0.8% 상승에 그쳤다.

특히 도심권 도쿄 23구 중에서도 상권이 발달한 주오구는 연평균 7.8%(2014~2017년), 관공서가 밀집한 지요다구는 7.3%, 대기업 본사 등이 많은 미나토구는 5.9% 상승했다. 반면 외곽지역인 가츠시카구 등은 1~2% 오르는데 그쳤다.

또 주택유형별로 보면 우리나라의 아파트와 유사한 맨션은 2013년부터 2017년 9월중 연평균 6.6% 상승한데 반해, 단독주택은 2.1% 오르는데 그쳤다. 맨션 중에서도 신축맨션은 연평균 6.0% 오른 반면, 중고맨션은 4.8% 상승했다.

최근 일본 주택시장 회복은 우선 장기간에 걸쳐 큰 폭의 조정을 받은데다 아베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으로 금융여건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실제 2017년 전국 주택지가는 고점이었던 1991년 대비 54.1%, 시가지 주택지가는 52.9% 하락한 상태로 버블 생성 이전인 1980년 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2013년부터 아베노믹스가 본격 추진되면서 대출평균금리가 하락했고 2016년 2월 마이너스 금리가 도입되면서 가계 주택담보대출 잔액의 전년말대비 증가율은 2014년 2.4% 수준에서 2016년 3.0%까지 확대됐다.

또 경기 회복과 함께 엔저 및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관광업이 활황을 보이면서 상업용 부동산 수요가 증가한 것도 원인이 됐다. 도쿄도의 경우 2013년부터 2016년중 상업용 부동산가격 상승률(24.1%)은 주택가격 상승률(15.7%) 보다 높았다.

다만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와 함께 빈집 증가, 가계소득 개선 미흡, 투자목적의 거래 부진 등 구조적 제약요인으로 일본 주택시장 회복세가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일본 정부도 이에 대응하고자 2006년부터 주택정책을 양에서 질로 전환하고, 2016년엔 주생활기본계획을 통해 고령·청년 주거환경 개선과 빈집 활용 및 기존주택 유통촉진, 주거생활산업 활성화 등 시책을 강화하고 있는 중이다.

조동애 한은 아태경제팀 과장은 “일본 사례에 비춰 우리도 장기대책을 세우고 다양한 정책수단으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