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주류경제 빈틈, 임팩트금융으로 해소”

입력 2017-05-23 13: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주류 경제에서 나타나는 금융소외와 사회·환경 문제를 임팩트금융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사진>는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 출범식에서 이같이 말했다. 임팩트금융은 금융소외와 사회·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재원을 유통하고 순환시키는 사회적 투자다. 금융과 ‘사회적 임팩트’의 동시 발전이 목표다.

이 전 부총리가 추진위 위원장을 맡았다. 이종수 한국사회투자 이사장이 추진위 단장을 맡아 기금 조성과 투자 대상 기업 선정을 주도하고 있다. 이외에도 황영기 금융투자협회 회장, 윤만호 전 산업은행금융지주 사장, 이장규 짐코 회장, 이종재 코스리 대표, 이승흠 한양대 교수, 임성택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이혜경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최도성 가천대 부총장 등 각계 주요인사 20여명으로 추진위가 구성됐다.

이헌재 위원장은 “올해 정부 예산 400조 원 중 130조 원이 보건복지와 고용 관련 예산”이라며 “사회 문제 해결이 중요 과제로 떠오른 때에 임팩트금융은 정부나 시장이 할 수 없는 부분을 보완하며 재무적 가치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임팩트금융과 비슷한 취지의 사회적 투자가 최근 10년 간 누적 기준 1300억 원 규모로 이뤄졌다. 그러나 이 중 1100억 원 수준이 정부 주도이고 민간 자금은 200억 원에 불과했다. 반면 글로벌 임팩트투자 규모는 2015년 기준 16조 원에 달하는 상황이다. 사회적가치 창출 목적에만 재원을 공급하는 글로벌 사회적은행 연합체인 GABV(Global Alliance for Banking on Values)의 회원은행도 지난달 말 기준 40개에 이른다.

이 위원장은 “사후 문제 해결보다는 사전 예방적인 사회투자 방식이 적은 비용으로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주는 복지’를 넘어서 ‘사회투자적인 접근방법’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진위의 우선 목표는 민간 재원을 유치해 ‘한국임팩트금융(IFK)’를 설립하는 것이다. 조달한 재원을 사회적 벤처 기업을 발굴·육성하는 데 투자하는 기구다. 구체적인 투자 대상은 △소셜벤처·사회적기업 펀드 △소셜부동산·지역재생 펀드 △소셜프로젝트 펀드 △임팩트투자기관 펀드 등으로 나뉜다.

올해 말까지 기관 출연이나 기부를 통해 700억 원 기금을 구성하는 것이 과제다. 이어 20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자 참여를 목표로 한다. 임팩트금융에 관심이 있는 기업, 재단, 협회, 개인 등에 모두 열려있다. 투자자들에게는 배당이 이뤄진다.

한편 추진위는 국가임팩트금융자문위원회(NAB)도 구성한다. NAB는 G20의 관련 국제기구인 GSG에 한국 임팩트금융의 대표기구로 참여해 민관 협력형 정책기구 역할을 하게 된다. GSG는 내년 G20에서 임팩트금융을 아젠다로 상정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IFK는 순수한 민간조직이지만 사업 추진 과정에서 공공부문과 긴밀하게 협력할 부분이 많다”며 “사회주택이나 지역재생 프로젝트, 사회성과연계채권 등 새로 출범한 정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역할 분담이 잘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발족식에서 위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종재 코스리 대표, 이승흠 한양대학교 교수, 이종수 (재)한국사회투자 이사장(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단장), 윤만호 전 산업은행금융지주 사장,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위원장), 이혜경 한국여성재단 이사장, 최도성 가천대학교 부총장, 임성택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출처=임팩트금융추진위원회)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