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휴가·육아휴직 사용 못하는 이유 물었더니… 직장 눈치 70%·경제적 부담 20%

입력 2016-11-21 1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여성가족부 ‘일·가정양립정책 국민체감도’ 조사 결과

국민 70%는 출산휴가·육아휴직·유연근무 등 직장과 가정 생활을 병행하도록 돕는 지원제도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직장 내 분위기를 꼽았다.

21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전국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정부 주요 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국민체감도를 조사한 결과,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를 사용하지 못하는 원인을 묻는 질문에 '직장 내 분위기'(68.8%), '경제적인 부담'(20.6%)이라고 답했다.

일·가정 양립제도 확산에 가장 필요한 사항을 묻는 질문에도 '사업주의 인식 개선'이 41.5%로 가장 많았다. '정부 지원 강화'는 답변도 38.6%에 달했다.

일·가정양립정책에 대한 정보는 가구의 소득이 높을수록,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월 200만원 미만 소득 가구 중에서는 70.7%가 정부 정책을 인지하고 있는 반면 800만원 이상 가구 중에서는 87.7%가 제도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정규직은 78.9%, 비정규직은 74.6%가 제도를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제도별로는 가장 먼저 도입된 '출산휴가' 제도가 인지도(95.4%)와 필요도(95.1%), 효과성(95.9%) 등 모든 항목서 가장 점수가 높았고 ‘시간제보육’ 등 최근 도입된 제도의 인지도 등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을 위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제도는 '출산휴가·육아휴직의 정착'(32.5%), '가족친화경영 확산' (31.3%), '돌봄서비스 확충'(18.4%), '남성들의 육아참여 활성화' (17.2%) 순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현재 육아휴직 가능 기간 1년 중 휴직을 사용하지 않은 기간에 대해 할 수 있었던 근로시간 단축 기간을 최대 2년까지 확대하고, 중소기업 육아휴직 지원금을 20만원에서 30만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중소기업 맞춤형 일·가정 양립제도 매뉴얼을 제작· 배포하는 등 현장 밀착형 홍보를 강화하고 위반 사업장에 대한 스마트 근로감독 실시해 돌봄 서비스 기반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