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크래커] 국내 누적 확진 1000만 명 돌파...‘집단면역 선봉' 스웨덴은 성공했을까

입력 2022-03-23 15:34수정 2022-03-23 18: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3일 오전 서울 송파구청에서 누적 확진자 수가 모니터에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 급속히 퍼지는 오미크론 변이 전염력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그동안 자랑해왔던 ‘K-방역’의 성과는 무색해졌다.

최근의 정부 방역은 ‘각자도생(各自圖生)’ 식이다. 정부의 방역 관리역량으로는 전파를 막을 수 없게 되면서 국민 개개인이 스스로를 돌보면서 버티는 모습이다. 사정이 이렇게되자, 일각에선 ‘위드 코로나’보다 한발 더 나아간 대책을 더 빨리 시행했어야 했다는 주장이 나온다. 바로 스웨덴이 선봉에 섰던 ‘집단면역’이다. 사적 모임 인원 제한, 영업 제한 같은 방역대책 대신, 봉쇄를 풀고 백신 접종이나 감염을 통한 항체 생성으로 집단의 면역 수준을 갖춰야 한다는 주장이다.

◇초기부터 ‘집단면역’ 선포한 스웨덴, 최근 유행 상황 크게 줄어

▲올해 1월 1일부터 스웨덴, 영국, 미국, 우리나라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 추이. (아워 월드 인 데이터 캡처)

스웨덴은 코로나19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진 초기부터 집단면역을 중심으로 한 방역 조치를 시행했다. 인근 유럽 국가들과 달리 공연, 스포츠 경기, 결혼 등 행사에서 대규모 모임만을 제한하는 비교적 느슨한 방역 외에 대부분 일상을 그대로 유지했다. 이에 대해 당시 세계 각국은 ‘국민을 상대로 실험한다’는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

그러나 최근 오미크론 변이의 정점을 지났다는 판단으로 일부 국가에서 봉쇄령을 완화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스웨덴의 상황에 다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스웨덴을 향한 세계의 시선은 이전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지난달 17일 미국 워싱턴이그제미너(WE)는 스웨덴의 집단면역에 대해 “결국, 스웨덴이 옳았다(In the end, Sweden did it right)”는 제목의 기사를 냈다.

WE는 “(스웨덴도) 몇 가지 제한과 임시 폐쇄가 있었지만 최소한의 조치였다.”며 “‘스웨덴의 파우치’ 앤더스 테그넬 공공보건청 국가 전염병학자는 봉쇄로 인한 피해가 사회 전반의 이익보다 클 것이라고 주장했는데, 그가 옳았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했다.

WE는 스웨덴의 100만 명당 코로나19 사망률이 다른 국가에 비해 적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이달 8일부터 21일까지 2주간 스웨덴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1만9721명으로,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적었다. 같은 기간 영국은 108만1747명, 독일은 274만5011명, 프랑스는 104만5885명이었다. 이 기간 우리나라는 506만7362명의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신규 확진자와 치명률 모두에서 스웨덴의 방역 상황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우수한 상황이다. 스웨덴의 인구 100만 명당 코로나19 사망자는 1614명으로 영국(2335명)이나 미국(2836명)에 비해서도 적었다. 집단면역으로 일찌감치 코로나 정점을 지나면서 상대적 안정을 찾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타격도 없는 스웨덴...전문가 “섣부른 거리두기 완화는 위험”

▲2021년 9월 29일 코로나19 관련 제한이 풀리자 스웨덴 스톡홀름 시민들이 환호하고 있다. (AP/뉴시스) (AP/뉴시스)

스웨덴의 집단면역이 성공했다고 보는 건 단순히 확진자가 적다는 점 때문만이 아니다. 다른 국가들이 봉쇄에 나서며 경제, 교육 등 사회 전반에 타격을 입었으나 스웨덴은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WE는 “올해 독일의 경제성장률이 2%, 영국이 1%인 데 비해 스웨덴은 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또 “스웨덴의 학교는 마스크 없이 문을 열었다”며 “시험 점수가 올라갔고, 스웨덴에서는 교육의 ‘잃어버린 기간’에 대한 얘기가 없다”고 지적했다.

스웨덴의 집단면역이 성공적이라는 분석이 나오자 우리나라도 집단면역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 등이 영업 제한 등으로 오랜 기간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러한 주장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다만 전문가들은 결과적으로는 집단면역의 도움을 받더라도, 섣불리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전히 풀어버리는 것은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신상엽 KMI학술위원장(감염내과전문의)은 “드러난 누적 확진자는 1000만 명이지만, 실제로는 전 국민의 절반 정도가 누적 확진자일 수 있다”며 “감염 뒤 약 2주 정도가 지나면 자연 면역에 의해 지금의 오미크론에 대해서는 저항력이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결국은 집단면역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행의 정점이 지나 확진자 수가 줄어도, 위중증환자 등을 관리하는 의료체계는 여전히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라며 “결국 집단면역에 기댄 섣부른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보다는 의료체계에 걸리는 부하를 고려하며 신중하게 거리두기 완화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