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석화제품, 인도, 중국 견제 본격화… 전 세계 무역규제 중 52%

입력 2016-12-12 10:45수정 2016-12-12 15:2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석유화학 제품의 주요 시장인 중국과 인도의 무역규제가 강화되면서 국내 업체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국내 석화산업은 공급 과잉으로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수출해야 할 정도로 대외경제 의존도가 높다.

12일 한국무역협회의 ‘대한 수입규제 월간동향’에 따르면 올해 11월 말 기준 국내 화학제품에 대한 글로벌 시장 무역 규제는 조사 중인 12건을 포함 총 48건이다. 이 중 중국과 인도가 25건(52%)을 차지해, 가장 무역 규제 품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폴리염화비닐(PVC), 에피크로로히드린(ECH), 폴리우레탄 및 스판덱스, 비스페놀A, 아세톤, 테레프탈산(TPA) 등 7건을 규제 중이며, 인도는 NBR고무를 비롯해 고순도 테레프탈산(PTA), 폴리염화비닐(PVC) 등 18건을 규제하고 있다.

기업 중에서는 LG화학이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은 품목의 규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G화학 관계자는 “스트림(stream)이 다각화되어 있어 다양한 품목들을 생산해내고 있기 때문”이라며 “무역 규제나 반덤핑에 대한 태스크포스(TF)팀을 따로 구성하고 있지는 않지만, 사업본부별로 문제를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석화업계는 중국과 인도 등에서 국내 석유화학 제품 규제가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자국 기업 감싸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과거에는 자국 기업들이 기본관세 등에 기대서 외국 기업들보다 이득을 봤었지만, 현재는 대외적으로 개방해 관세를 내리게 되면서 그만큼 손해를 보게 됐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석화 제품은 올 상반기 인도 시장에 2143만 달러(약 250억 원)어치를 수출했다. 한ㆍ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따라 기본 관세가 없는 상태인 데다가, 인도 자체적으로 자국내 석화시설을 늘리고 있어 인도 석화 업체들은 반덤핑 제소 등을 통해 국내 석화제품에 대한 견제를 드러내고 있다.

석유화학협회 관계자는 “아시아 국가들의 무역규제는 대외개방, 공급과잉,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 등 다양한 이유가 있다”면서 “협회 차원의 모니터링과 함께, 공동 대응해야 할 때는 TF팀을 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